[뉴스초점] "이스라엘, 전면전 피하되 고통스러운 보복 무게"<br /><br /><br />이란에 본토를 공습당한 이스라엘이 언제·어느 수위로 보복에 나설지 국제사회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이스라엘이 간밤, 또는 오늘 새벽에 보복 공격에 나설 것이라는 보도도 나왔는데요. 아직은 조용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중동 상황 점검해 보면서, 서방 국가들의 중재 상황까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성일광 고려대 중동·이슬람센터 연구실장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 이란에 대한 이스라엘의 재보복 여부가 국제사회 초미의 관심사입니다. 아직 중동으로부터 이러다 할 소식이 들려오고 있지 않은데요. 이스라엘 언론에 따르면, 이스라엘 전시 내각이 전면전을 유발하지 않는 선에서 '고통스러운 보복'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전했는데요. '고통스러운 보복'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?<br /><br /> 긴박하게 움직이는 나라는 미국입니다. 일단 미국은 이스라엘 지지를 밝히면서도 보복은 반대했습니다. 이란의 공격으로부터 방어에 성공했는데, 왜 굳이 보복하려고 하느냐는 건데요. 미국이 확전을 반대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뭔가요?<br /><br /> 앞서 이스라엘 전시내각은 이란에 대한 보복 공격에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전해지면서 국제사회가 긴장했는데요. 일단 전면전으로 확산하지 않는 선에서 고통스러운 보복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이 보도가 맞는다면, 어느 정도 미국의 만류가 통한 걸까요?<br /><br /> 이란이 이스라엘 무장 드론과 미사일을 300기 이상 발사했는데, 이스라엘이 방공망체계 아이언돔에 대부분 격추됐다고 발표했는데요. 이를 두고 이란과 이스라엘의 '약속 대련'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는데, 가능성 있는 이야기입니까?<br /><br /> 러시아가 한마디 거들었습니다. 현재의 중동 위기가 이란 핵 합의 복원에 실패한 서방의 책임이라고 주장한 건데요. 러시아가 이란 핵 합의 복원 실패로 책임을 돌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은 이스라엘에 확전 방지를 촉구하면서 이란을 고립시키는 방식으로 제재를 꺼내 들었습니다. 제재가 해법이 될까요?<br /><br /> 사우디까지 나서서 확전 불씨를 차단하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는데요. 주변 중동 국가들의 입장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이번 사태의 씨앗은, 반년간 진행 중인 가자지구 전쟁이라고 봐야겠죠? 가자지구 상황은 어떻게 흘러가고 있습니까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미국과 중국이 베이징에서 열린 외교당국자가 협의를 가졌는데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입장이 엇갈린 것 같습니다?<br /><br /> 이번 사태가 한고비를 넘긴다고 해서 끝난 게 아닙니다. 중동은 '화약고'라는 별명답게 하루가 멀다고 공습이 벌어지고 있는데요. 중동의 땅에 어떤 해법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